1. 조손가족의 특성
□ 조손가족은 양친부모가족 뿐만 아니라 한부모가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약한 여건에 처해 있다.
□ 조손가족 성원은 부정적 변화만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며,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거나 부정적 경험에도 불구하고 생활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1) 조손가족의 긍정적 경험
□ 대부분의 조부모는 노년기에 손자녀를 양육함에 따라 체력이 저하되고 신체적 기능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 반면 조부모는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긍정적인 심리적, 정서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 조부모의 긍정적 경험(Jendrek,1994)
○ 조부모는 손자녀 양육을 통해 친밀감이나 사랑, 가족 간의 유대감, 즐거움, 삶의 충만함을 느낀다.
○ 조부모는 손자녀를 양육하면서 새로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한다.
- 손자녀로인해 열심히 살아야 할 목표가 생기고 건강하게 오래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 조부모는 부모 역할을 다시 가질수 있다는 만족감을 가진다.
○ 손자녀 양육은 나이가 들면서 경험하는 조부모의 상실감을 보충해 준다.
○ 조부모는 손자녀가 자랑스럽다는 자부심을 느끼고 손자녀에게 정서적으로 의지하기도 한다.
□ 손자녀의 긍정적 경험(Kornhabor & Woodward, 1981)
○ 조부모의 양육을 통해 손자녀가 부적절한 부모로부터 받은 유해한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
○ 조손가족 손자녀는 한부모가족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행동상의 문제를 거의 나타내지 않거나 양친부모에 의해 양육된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 손자녀는 조부모와 함께 사는 삶을 통해 보다 안정감을 느끼고 대인관계가 개선되며, 사회 적응능력이 향상된다.
□ 조손가족의 긍정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관계의 질에 따라 가족 성원은 가족생활에 만족하기도 하고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한다.
○ 조부모의 양육 부담의 정도가 낮을수록 긍정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 손자녀의 우울이 낮을수록 긍정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 손자녀의 행동문제가 낮을수록 긍정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손자녀가 여아이고 양육자가 조모일 경우, 조손가족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 가족 구성원 간의 낮은 응집력은 조부모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조부모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손 가족의 어려움과 욕구~!!! (0) | 2025.01.24 |
---|---|
조손 가족의 발생 원인과 현황~!!! (0) | 2025.01.23 |
조손가족의 개념~!!! (0) | 2025.01.21 |
아내 학대 가족의 대책~!!! (0) | 2025.01.21 |
아내 학대 가족의 서비스 현황~!!!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