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손가족의 발생 원인과 현황
1) 조손가족의 발생 원인
□ 조손가족의 대표성을 확보한 전국 규모의 체계적인 조사가 아직 실시되지 않은 상태여서 우리 사회에서 조손가족이 형성되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 2010년 여성가족부 자료에 의한 형성 원인
○ 친부모와의 이혼과 재혼에 따른 가족 해체(53.2%)로 가장 높음
○ 친부모의 가출 및 실종 (14.7%)
○ 친부모의 질병이나 사망(11.4%)
○ 친부모의 실직이나 파산 7.6% 순이다.
□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가 생존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정서적 압박에 의해 가족 기능이 와해되어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가, 부모가 사망하여 조손가족이 형성되는 경우도 보다 훨씬 더 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조손가족의 현황
□ 통계청은 1955년에 비로소 조손가구를 2세대 가구에서 분리하여 조사하기 시작하였다.
□ 1995년 3만 5,194가구였던 조손가구는 2000년에 4만5,225가구, 2005년에는 5만 8,101가구로 집계되었다.
□ 우리 사회에서 조손가구의 수는 10년 사이에 65% 이상 증가한 사실과 더욱이 가족해체 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감안할 때, 조손가족 역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조손가족의 조부모의 평균 연령은 72.6세, 조부는 평균 73.1세, 조모는 72.5세
□ 조손가족의 82.9%는 배우자 없이 손자녀를 혼자 양육하고 있다.
○ 조부모 모두가 생존하여 손자녀를 양육하는 가구는 17.1% 였다.
○ 조손가족의 10가구 중 8가구는 조부 혹은 조모가 홀로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 혼자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조부보다는 조모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조부모의 학력은 국졸 이하가 대부분(79.5%)룰 차지하였고, 기구의 월평균 소득은 평균 59.1만원 정도이다.
○ 40만원 이상 80만원 미만의 가구는 전체의 44.0%
○ 40만원 미만 가구는 20.1%
○ 80만원 이상의 소득은 17.9% 10가구 중 2가구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 조부모가 양육하는 손자녀 수는 가구당 1.4명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 1명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가구는 전체의 66.2%
○ 2명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가구는 전체의 33.8%
□ 손자녀의 평균 연령은 13.3세
○ 13~18세 47.0%, 7~12세 50.3%, 6세 이하 2.7% 순이다.
□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한 기간은 평균 7.4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성인이 될 때까지 손자녀를 양육하겠다는 조부모 63.5%
○ 부모가 찾으러 올때까지 키우겠다는 조부모가 29.5%
□ 조부모가 양육하는 손자녀 가운데 친손자(80.8%)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외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17.7%로 친손자녀가 약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가부장적 친족관계를 반영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 조손가족의 발생 원인과 현황을 종합해 본 결과 조손가족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 조손가족의 형성 원인으로는 가족해체가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 부모세대의 가족해체이후 뜻하지 않게 떠맡게 된 손자녀 양육은 고령의 조부모에게 경제적, 육체적으로 상당한 부담감을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손 가족의 정책과 서비스 현황~!!! (0) | 2025.01.27 |
---|---|
조손 가족의 어려움과 욕구~!!! (0) | 2025.01.24 |
조손가족의 특성~!!! (0) | 2025.01.22 |
조손가족의 개념~!!! (0) | 2025.01.21 |
아내 학대 가족의 대책~!!!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