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의 원인을 과거에는 부모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학대하는 부모는 아동을 관리하는 기술과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이 부족하고 아동의 문제 행동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아동 행동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하고, 충동성이 크며, 학대받는 아동은 기질이 까다롭고 반항적이거나 정서적으로 안정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와 아동의 특성을 학대 원인으로 연결 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학대하는 부모의 특성을 가진 사람이 모두 아동을 학대한다고 말할 수 없고, 학대받는 아동의 특성은 학대 원인이기보다 학대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래에서는 아동학대의 원인 및 후유증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1. 아동학대의 원인
1) 부모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
학대의 원인을 과거에는 부모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학대하는 부모는 아동을 관리하는 기술과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이 부족하고 아동의 문제 행동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아동 행동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하고, 충동성이 크며, 학대받는 아동은 기질이 까다롭고 반항적이거나 정서적으로 안정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부모와 아동의 특성을 학대 원인으로 연결 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학대하는 부모의 특성을 가진 사람이 모두 아동을 학대한다고 말할 수 없고, 학대받는 아동의 특성은 학대 원인이기보다 학대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한 관점
아동학대 원인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은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근거한 관점으로 아동학대를 아동이 처한 상황과 맥락에 따라 학습되고 촉진된 행위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역기능적 가족’이라는 맥락 속에서 학대 부모는 공격적 성격을 형성하고, 경제적 어려움이나 부부간 불화 같은 상황적 요인이 반복해서 축적되면서 폭력을 학습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동학대는 세대 간 전승된다.’는 주장은 바로 이 관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에 관한 종단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거 학대받은 경험이 현재 아동학대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증거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학대의 세대 간 전이를 중단하는 보호요인이 존재한다고 언급하고 있어 이러한 논리를 주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
3)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관점
학대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 최근 주목받는 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 상호 작용의 결과로 아동학대를 보는 ‘생태학적 이론(ecological theory)’이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아동학대는 개인 요인, 가정 요인, 경제 요인, 사회·문화 요인 등이 다양하게 얽혀 발생하는 것이다.
부모나 아동 양육자의 양육 능력, 갈등해결 능력 부족과 같은 개인 요인은 근접 환경인 가족 환경과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가족 요인은 가족구성원 간 상호 작용과 친밀감, 가족구성원의 신체적·정서적 욕구, 가족구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공식적·비공식적 사회 지지망, 복지 수준, 사회 통합, 공공복지서비스, 경제적 자원, 실업, 부모의 신분상태 등 사회·경제적인 요인과 사회의 문화적 신념과 가치 등이 아동학대의 간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가 발생한 가족의 상황을 살펴보면 한 부모 가정 비율이 높고, 경제적으로 어렵고 소득이 낮은 가정이 많다
이는 전반적 복지상태가 취약한 부모의 개인 요인 뿐 아니라 경제적 자원과 지지망이 적은 사회·경제적 요인, 가족 요인이 결합해 아동학대를 일으킨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체벌을 훈육의 수단으로 인정해왔던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학대에서 체벌에 대한 관습과 훈육규범 등 문화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아동학대의 후유증
아동학대는 아동 발달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준다.
아동은 학대행위가 더 일어나지 않을 때에도 장기간 학대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
신체 학대로 말미암은 타박상이나 골절, 장기 손상으로 오랜 시간 고통 받을 수 있고, 이 때문에 발달이 지연되거나 장애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다.
피학대 아동은 과도하게 순응적이거나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자아 개념이 왜곡되고 자아존중감이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학대를 포함한 환경적 위험요소에 많이 노출되어 충분히 보호를 받지 못한 아동은 언어·운동·인지·행동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증가하며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폭력이나, 범죄행동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교육의 개념 및 목적, 이론적 관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21 |
---|---|
부모 교육과 부모 자녀교육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20 |
아동학대의 개념 및 유형, 발생 형태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17 |
놀이치료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16 |
부부관계 향상 교육의 교육과정 및 실제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