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한부모가족의 정의~!!!

by Sonic-owner 2024. 12. 12.

 

 

썸네일

 

 

 

 

 

1. 한부모가족의 정의

 

 

 

현대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한다.

 

 

다양한 가족형태의 역할 및 구성과 관련하여 분류하면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 가족, 맞벌이가족, 계부모가족, 한부모가족

 

 

 

○ 전통적 가족

 

 

- ()는 직업을 갖고 가정 밖에서 일하고 모()는 집안일을 하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

 

 

○ 맞벌이 가족

 

 

- 부모 모두가 직업을 갖고 소득을 가지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형태를 말한다.

 

 

○ 계부모가족

 

 

- 부모 중 한쪽이 계부나 계모로 구성된 가족을 말한다.

 

 

○ 한부모가족

 

 

부나 모 중 한 사람이 단독으로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을 의미한다.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른 견해를 갖고 있어 하나의 합의된 정의를 이끌어 내기가 어려움이 있다.

 

 

 

○ Schoesinger(1969) 정의

 

 

- 부모 중 한쪽과 18세 이하의 자녀가 함께 사는 부모-자녀 집단으로 정의한다.

 

 

○ Orthner, Brown과 Ferguson(1976)

 

 

- 자녀의 구체적인 연령을 지적하지 않은 채, 한 가정에서 사는 한쪽 부모와 요보호 아동으로 구성된 가족으로 규정한다.

 

 

○ 한국여성개발원(1984)

 

 

- 미국의 사회복지대백과사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의 틀을 받아들여 부모 중 한쪽의 사망, 이혼, 별거로 인하여 편부 혹은 편모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원인의 범위를 한정하여 정의한다.

 

 

 

 

 

 

 

□ 한부모가족지원법(2007)

 

 

한부모가족이란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을 말하며, 세대주(세대주가 아니어도 세대원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 포)인 모 또는 부와 그에 의하여 양육되는 아동을 말함. 이 법에서 법 적용 대상자로서의 모 또는 부라 함은 다음에 해당하는 이로 아동을 양육하는 자를 말한다.(동법 제41)

 

 

①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된 자

 

 

② 정신 또는 신체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근로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③ 미혼자(사실혼관계에 있는 자는 제외한다)

 

 

④ ①~③에 규정된 자에 준하는 자로서 여성부령이 정한 자

 

 

이상에서처럼 한부모가족의 정의는 부모의 한쪽과 자녀가 함께 살아야 한다는 점을 공통으로 언급한다.

 

 

통상적으로 한부모가족이란 부모 중 한 사람의 사망, 이혼, 유기·별거로 인해 부자 혹은 모자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이라고 정의한다.

 

 

한국여성민우회(2000)는 어머니아버지 혼자서 자녀를 기르는 가족을 정상가족인 아닌 결손가족 혹은 결핍

 

 

가족으로 보는 사회적 편견이 있고, 이들 가족을 지칭하는 명칭 역시 이러한 편견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사회적 편견을 변화시키는 일은 명칭 변화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판단 하에 한부모라는 명칭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면서, 2007년 모부자복지법이 한부모가족지원법으로 개칭되는데 기여한다.

 

 

한부모가족의 정의는 한부모가족의 어떠한 특성을 정의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는지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자녀의 연령이나 특성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인지, 아니면 한부모가족의 원인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인지 등이 있다.

 

 

○ 자녀의 연령을 기준으로 할 경우

 

 

- 자녀의 연령이 특정 연령 이상이면 그 가족이 아무리 어려운 상황일지라도 한부모가족으로서 정책적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될 것이다.

 

 

○ 한부모가족이 된 원인에 중점을 두어 사별과 이혼한 가족만을 한부모가족의 범주에 넣을 경우

 

 

- 실질적인 한부모가족 형태인 별거 가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기대할 수 없다.

 

 

 

 

 

 

○ 가족 형태에 초점을 둘 경우

 

 

- 한쪽 부모와 자녀로만 구성된 가족을 한부모가족으로 하는 경우, 한쪽 배우자의 장애나 만성질환으로 인한 실질적 한부모가족 등 한부모가족의 범주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처럼 한부모가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것은 한부모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폭과 범위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한부모가족을 정의한다는 것은 매우 복잡하며 합의된 의견을 찾기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가족의 문제~!!!  (3) 2024.12.16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2) 2024.12.13
가족옹호자의 핵심기술~!!!  (0) 2024.12.11
가족 옹호 계획과 지침~!!!  (1) 2024.12.10
가족 옹호의 정의와 실천~!!!  (1)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