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부모가족의 유형과 현황
1) 한부모가족의 유형
□ 한부모가족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 부모집단의 유형에 따른 분류
- 부모가 결혼한 사람인지 혹은 결혼을 하지 않고 동거상태로 살다가 한부모가족이 된 사람인지에 따른 분류이다.
○ 가족해체의 유형에 따라 분류
- 해체의 유형이 부나 모의 사망에 기인한 것인지
- 부모의 별거나 이혼에 의한 것인지
- 배우자의 장기 입원이나 장기 구속에 의한 것인지
- 미혼모에 의한 것인지
○ 아동에 대한 보호를 누가 맡느냐 즉 부모역할을 누가 맡느냐에 따른 분류
- 모가 자녀에 대한 보호를 맡고 있는 모자가족(fatherless family)
- 부가 자녀를 보호하고 있는 부자가족(motherless family)
□ 한부모가족의 생활 유형에 따른 5가지 구분
○ 부모 중 한쪽이 자녀에 대한 의식주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자녀의 사회화 등 모든 것을 책임지고 단독으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유형
- 이 경우 직업과 가사 책임의 이중부담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되기 쉽다.
○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보조부모(auxiliary)와 함께 부모역할 및 책임을 나누는 유형
- 자녀가 모와 살 경우, 부가 보조부모가 된다.
- 자녀가 부와 살 경우, 모가 보조부모가 된다.
○ 한부모가 가족과는 관련이 없는 사람이 부모역할을 함께 하는 유형
- 자녀가 엄마처럼 느끼는 가정부와 함께 사는 경우
- 한부모의 친구나 연인이 부모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는 경우
○ 아동의 실질적인 부모는 아니지만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이 혈연관계나 법적인 친척관계에 있는 유형
- 조부모나 사촌, 형제 등이 결손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 한부모가 알코올이나 약물에 중독되어 있거나 혹은 심한 정신적 문제가 있는 등 사실상 부모역할을 유기한 유형
2) 한부모가족의 현황
□ 한부모가족의 규모 및 추이 변화를 보면 일반적으로 한부모의 절대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인구센서스 결과 2000년 7.9%, 2005년 8.6%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통계청(2002)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부모가족 중 80%가 여성 한부모가족이 차지한다.
○ 연령별 분포에서도 30~40대에서 증가하고 있는 현상, 이 연령층에서의 이혼율 상승으로 인한 이혼한 여성가구주의 증가를 반영한다.
□ 한부모가족의 실태(2012년 여성가족부 발표 자료 참고)
○ 전국 미성년 자녀(만 18세 미만, 취학중인 경우 만 18세 포함)를 배우자 없이 양육하는 한부모가족은 약 57만가구로 추정된다.
○ 모자가구 63.1%, 부자가구 36.8%, 평균 연령 43.7세, 평균자녀수 1.7명이다.
○ 취업률은 한부모가 되기 1년전 63.4% => 한부모 상태 86.6%로 증가한다.
○ 한부모로서 가장 어려운 점: 경제적 어려움 62.7%, 혼자 부모역할 부담 22.4%순이다.
○ 양육비: 전혀 받지 못함 83.0%, 최근까지 정기적으로 받음 5.6%순이다.
○ 아이돌봄
- 미취학자녀: 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등 시설보육을 통해 아이를 돌보는 경우가 82.2%이다.
- 초등학생자녀: 초등돌봄교실, 방과후교실, 학원 등에 보내는 경우 69.4%이다.
- 미취학 자녀를 둔 한부모 10.4%, 초등학생 52.7%가 평소 돌봐주는 어른 없이 보내는 시간이 미취학 자녀 평균 2.8시간, 초등학생 3.7시간, 중학생 3.6시간으로 나타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2) | 2024.12.17 |
---|---|
한부모가족의 문제~!!! (3) | 2024.12.16 |
한부모가족의 정의~!!! (2) | 2024.12.12 |
가족옹호자의 핵심기술~!!! (0) | 2024.12.11 |
가족 옹호 계획과 지침~!!!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