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생활한다. 각각의 개체가 고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연대성을 가지고 서로 돕는 것은 인간이 가지는 생활방식의 기본적 특징이다. 상부상조의 관행이나 모습을 특별히 자원봉사의 역사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르는데,인간 생활에서의 일반적인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근대적 상부상조와 자원봉사의 전통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1. 전근대적 상부상조와 자원봉사의 전통
•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생활
• 각각의 개체가 고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연대성을 가지고 서로 돕는 것은 인간이 가지는 생활방식의 기본적 특징
- 상부상조의 관행이나 모습을 특별히 자원봉사의 역사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름.
- 인간 생활에서의 일반적인 전통이라 할 수 있음.
• 자원봉사의 본격적 역사를 이야기할 때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항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근대사회의 성립과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일반화되면서 인간의 활동은 체제 내에서 경제성을 가진 것과 그렇지 않은 사적인 것으로 명확히 구별되었고, 자원봉사는 직업적 활동 혹은 경제적 활동과 구별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근대사회 성립 이전의 상부상조와 관련되는 전통적 모습들은 현대적 관점에서의 자원봉사활동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지만,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에 농촌사회의 특징상 서로 상부상조하는 전통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계, 품앗이, 두레, 향약 등 민간의 전통 풍습을 통해 쉽게 확인 가능하다.
• 농사를 짓기 위해 협업 활동을 폈던 것은 경제적 의미를 가지는 협력이었다고 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는 이웃들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나누는 체계도 일반화
- ‘환난상휼(患難相恤)’과 같은 덕목으로 표현
- 이러한 상부상조의 전통은 자연스럽게 현대에 이르러서도 자원봉사활동 참여나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서구에서도 노예와 나병환자 혹은 극빈자 등 도움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여 주고자 하는 동기에서 봉사활동을 시작했던 로마교회의 프란시스(St. Fransis Acceici)의 이야기를 공식적인 자료에서 찾을 수 있음.
- 로마교회의 베네딕트(St. Benedict)가 부유한 계층의 젊은이들을 동원하여 저개발지역으로 봉사활동을 위해 여행했다는 기록도 찾아볼 수 있음.
- 이러한 기록을 통해 중세 이전의 종교적 활동, 대표적으로 로마 카톨릭교회의 활동에서 자원봉사활동의 기원을 찾아보기도 함.
• 이민 후의 신대륙 역사가 구대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미국의 경우 개척시대의 상부상조 활동이 자원봉사활동 정착에 직접적인 계기
- 주로 유럽에서 건너온 이민자들은 생존을 위해서 이웃끼리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 돕지 않을 수 없었음.
- 독립혁명과 이후 이민자들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이러한 활동은 조직화되고 지역사회에 확대됨.
• 근대 산업사회가 역사적으로 일반화되기 이전에 상부상조의 전통은 자원봉사활동의 맹아적 모습이라 할 수 있음.
-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활동’이라는 속성과 ‘곤궁한 자에 대한 자선적 베품’이라는 속성을 가지는 것이었음.
•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집단적 노력의 일환으로 자원봉사활동과 유사한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음.
- 영국에서는 1600년대 역사적인 혼란 시기에 스스로 자신들의 마을과 나라를 지키고자 자발적으로 활동한 ‘자경단’이 많았음.
- ‘자원봉사’라는 용어가 이러한 의미로 사용
- 우리나라에서도 외적의 침입이나 난리가 발생했을 경우 정부가 조직한 군대 이외에 자발적인 활동이 많이 나타났음. 예) 의병 활동
• 근대 이전의 상부상조적인 협력 활동, 특권계층에 의한 자선활동, 외부로부터의 방위를 위한 자생적 집단활동 등은 현대적 의미에서 자원봉사활동이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비체계적이고 비조직적인 면을 지님.
• 과거의 이러한 활동은 인간 사회에서 보편적인 전통이자 이후에 자원봉사주의(volunteerism)를 형성해 가는 초기의 전통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음.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자원봉사의 체계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14 |
---|---|
근대 산업사회에서의 사회복지와 자원봉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13 |
자원봉사의 동기이론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11 |
자원봉사와 사회복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10 |
가족의 기능 중 노인에 대한 부양의 기능 및 정서적 기능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