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이란 이혼이나 사별로 전혼 관계가 해체된 후 또 다른 혼인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재혼가족은 재혼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가족을 의미하는데, 자녀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소한 한쪽 배우자가 재혼인 경우, 부부 중 어느 쪽이든 전혼(前婚)에서 얻은 자녀가 최소한 한 명이상 있는 경우에 자녀 동거 여부에 관계없이 계부모(繼父母) 가족이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재혼가족의 현황 및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1. 재혼가족의 현황과 특성
1) 재혼가족의 현황
○ 재혼 : 이혼이나 사별로 전혼 관계가 해체된 후 또 다른 혼인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
○ 재혼가족 : 재혼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가족을 의미
- 자녀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소한 한쪽 배우자가 재혼인 경우
- 부부 중 어느 쪽이든 전혼(前婚)에서 얻은 자녀가 최소한 한 명이상 있는 경우에 자녀 동거 여부에 관계없이 계부모(繼父母) 가족이라고 함.
○ 결혼한 부부 중 재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증가하며 2015년에는 21.3%에 해당.
- 재혼 부부 중 남녀 모두 재혼인 비율은 전체 재혼 건수의 약 54%를 차지하여 많은 재혼가족이 계부모가족일 가능성이 높다.
2) 재혼 가족의 특성
○ 초혼과 재혼의 성격은 다르며 복잡한 관계적 특징을 지닌다.
- 계부모가족의 자녀들은 두 가구의 가족 구성원이고 친부모가 자녀들의 현실이나 기억 속에 존재하며, 서로 다른 가족 역사를 지니고 있어 다른 가족 유형보다 여러 면에서 복잡하다.
- 계부모가족은 부모-자녀 간의 유대가 배우자들 간의 유대보다 더 오래되어 가족생활주기상의 불일치도 크다.
○ 우리사회에서 계부모가족은 사회적 편견이 여전히 존재, 사회적 지지도 부족, 가족 체계가 정서적으로 친밀하지 않다는 특징을 지님.
-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재혼가족 구성원들은 역할의 혼란을 경험하고 이 혼란이 재혼가족의 적응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음.
○ 계부모와 계자녀의 관계는 재혼가족의 행복을 예측하는 중요한 관계이면서 문제가 많고 스트레스를 주는 관계임.
- 계부모와 계자녀의 관계는 계자녀의 동거여부에 따라 계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이 달라짐. 계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계부모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고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큼.
- 계모가 계자녀 관계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계모 자신이 초혼인가 혹은 재혼인가에 따라 스트레스의 내용과 심각성이 다름. 초혼 계모는 계자녀의 학업이나 생활습관을 교정하거나 모성의 형성과 같은 양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임.
- 재혼 계모의 경우에는 생모와 왕래하는 계자녀의 문제, 계자녀의 반항, 재산문제, 계자녀와 친자녀 간의 갈등 등 다른 스트레스를 경험함.
- 전혼 친자녀의 존재는 재혼한 생모에게 지지자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재혼가족 내에서 출생한 자녀는 생모에게 재혼가족에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의지 대상이 됨.
○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은 재혼을 앞두고 새로운 관계를 준비하는 재혼 준비교육과재혼 이후 가족관계의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재혼 적응 프로그램으로 구별
- 재혼교육프로그램은 재혼가족의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이들의 경제적, 정서적, 가족관계적 특성들을 통합하여 지원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개발
- 재혼가족에서 자녀들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은 개별적, 전체 프로그램의 일부로도 개발되어 적용됨.
2. 재혼가족의 프로그램 실제
1) 준비된 재혼, 또 다른 행복
○ 이혼, 사별을 경험하고 재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재혼부부나 개인, 초혼자로서 결혼 상대가 재혼자인 예비부부나 개인이 재혼가족 생활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며,현실적인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재준비교육 프로그램
○ 가족체계이론과 건강가족의 관점, 재혼가족에 대한 발달적 모델, 재혼가족에 대한 배려적 관점과 정의적 관점을 적용
- 1주제 : 재혼 바로보기
- 2주제 : 새로운 관계를 위한 홀로서기
- 3주제 : 재혼가족에서의 배우자 역할 준비하기
○ 교사용 교재, 학생용 교재, 비디오테이프, 게임 도구 등으로 구성
○ 참가 만족도 : 재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미래의 재혼을 준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참가자들은 이전에 가졌던 재혼에 대한 막연한 기대가 현실적으로 바뀜에 따라 앞으로의 재혼을 보다 신중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인지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함.
2) 관계발달센터(The Center for Relationship Development)의 재혼교육
○ Les & Leslie Parrotes 부부 : 관계기술증진을 목적으로 시애틀 퍼시픽 대학내 설립한 센터
- 책, DVD, 강연을 통해 관계기술을 전파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관계기술관련 책
○ "Saving your second marriages before it starts : Seven Questions to ask before and after you marry" : 재혼을 앞둔 사람들이 스스로의 준비 정도를 점검하는 도구
a. 남성과 함께 여성용 재혼 동기검사
b. 재혼준비도척도
c. 나의 10계명
d. 미해결된 문제의 탐색
e. 사랑에 대한 정의
f. 친밀감의 발달
g. 비난하지 않기
h. 대화 잘하기
I. 잘듣기
j. 배우자의 열 가지 욕구
k. 나의 중요문제 확인하기
l. 마음읽기
m. 아이들과의 재혼을 포함한 26가지 점검하는 워크북
- 20분 내외 진행, 관계에서의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들을 점검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기 주거 환경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25 |
---|---|
노인교육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24 |
한부모 가족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볼게요. (1) | 2024.02.22 |
성교육의 개념 및 목적, 이론적 관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21 |
부모 교육과 부모 자녀교육에 대해 알아볼게요. (0) | 2024.02.20 |